인간은 순간 순간을 경험하면서 생각한다. 생각은 자신만의 정상적인 기대를 찾으려고 생각을 한다. 생각은 3가지 단계로 진행이 된다. 정상,놀람,원인으로 돌아 간다. 자신의 기대되로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고, 정상을 벗어나면 자신은 생각에서 순간적으로 놀라면서, 정상 회복 하려는 원인 찾기에 돌입한다. 원인 찾기는 불확실성을 극도로 싫어하는 인간의 본능이자 심리이다.
다니엘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에서 정상, 놀람, 원인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사건을 해석하고, 그 과정에서 기대와 이유를 어떻게 만들어내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이다. 사람들이 특정 사건을 "정상적"이라고 여기는 기준과, 그 기준에서 벗어난 사건에 대해 놀람을 느끼고 원인을 찾으려는 심리를 파악해 보자. 심리 공부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다.

1. 정상과 놀람
(1) 정상의 기준
사람들은 경험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세계에 대한 기대 모델을 형성합니다.
"정상"은 사람들이 과거 경험을 통해 예상하는 범위 내의 사건을 의미합니다.
예: 매일 아침 해가 뜨는 것은 정상으로 간주되며, 특별히 주목받지 않습니다.
(2) 놀람의 발생
예상 밖의 사건이 발생하면 놀람을 느끼며, 이는 시스템 1이 작동하는 방식입니다.
예: 무더운 날씨에 갑작스럽게 눈이 온다면 "놀람"이 발생합니다.
놀람은 예상 모델이 깨졌음을 알리는 신호로 작용합니다.
(3) 맥락의 중요성
"정상"의 기준은 맥락에 따라 다릅니다.
예: 특정 지역에서는 여름의 폭우가 정상적일 수 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비정상적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2. 원인을 찾으려는 심리
(1) 인과관계 추구
사람들은 놀라운 사건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그 원인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불확실성을 줄이고 세계를 이해하려는 인간의 본능적 행동입니다.
예: 사고가 났을 때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가?"라는 질문을 던짐.
(2) 단순한 원인 선호
복잡한 사건이라도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단순한 원인을 선호합니다.
예: 경제 위기의 원인을 단일 요인(정책 실패)으로 간주하는 경향.
(3) 인과적 스토리 구성
놀라운 사건에 대해 "왜"라는 질문에 답하는 인과적 이야기를 만들어내며, 이는 시스템 1이 주도합니다.
이야기의 완결성이 높을수록 사건의 설명이 더 신뢰할 수 있다고 느낍니다.
3. 정상, 놀람, 원인의 연결
(1) 정상성 위반과 원인 찾기
예상 모델에서 벗어난 사건(비정상적인 사건)은 강한 놀람을 유발하고, 이는 원인을 찾으려는 행동으로 이어집니다.
예: 갑작스러운 경제 변화는 원인 분석(음모론 등)을 유발.
(2) 직관과 오류
사람들은 인과관계를 단순화하거나 과도하게 확신하며 오류를 범할 수 있습니다.
예: 우연의 일치를 중요한 원인으로 오해하는 경우.
(3) 정상성 복구 노력
놀람과 원인 분석은 사람들이 "정상 상태"를 복구하려는 심리적 과정의 일부입니다.
이는 안정감과 예측 가능성을 되찾기 위한 행동입니다
4. 일상에서의 사례
(1) 놀람과 뉴스 소비
사람들은 비정상적이고 놀라운 사건에 더 큰 관심을 보이며, 언론은 이를 활용하여 주목을 끔.
예: "전례 없는 폭우"나 "충격적 범죄" 같은 뉴스 제목.
(2) 음모론과 잘못된 원인 찾기
놀라운 사건에 대해 사람들이 복잡한 인과관계를 상상하거나 음모론을 만들어냄.
예: 유명인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한 음모론.
(3) 사회적 기준 변화
"정상"의 기준은 시대나 사회적 환경에 따라 변합니다.
예: 과거에는 놀라운 기술(인터넷)이 이제는 일상적인 것으로 간주.
5. 정상, 놀람, 원인의 심리적 의미
(1) 예측 가능성의 중요성
사람들은 "정상성"을 유지하며 세계를 예측 가능한 상태로 두고 싶어합니다.
놀람은 이 예측 가능성이 깨졌음을 알리는 심리적 신호입니다.
(2) 인지적 편향의 역할
사람들이 원인을 찾는 과정에서 후견지명 편향(사건이 일어난 후 이를 예측할 수 있었다고 믿는 경향)이나 확증 편향(기존 믿음을 강화하는 정보만 찾으려는 경향)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정상, 놀람, 원인은 사람들이 세계를 이해하고 예측하려는 심리적 과정의 핵심입니다. 놀라운 사건은 정상성에 대한 위반으로 발생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원인을 찾으려는 강한 욕구가 작동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의 적응 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비합리적 판단이나 편향으로 이어질 위험도 내포합니다. 인간은 생존본능으로 안정을 추구하게 되어 있는데, 정상적인 안정에서 벗어나면 놀람과 원인을 해석하려는 생각이 발동합니다. 이런 생각은 정상적인 안정으로 되돌리기 위한 생각들입니다.
지금 자신의 생각을 인지해 보면 , 마음이 편하면 생각이 정상이고, 무언가 원인을 생각하고 있다면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행위 입니다.
'심리로 풀어 보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이 되면 후회되는 10가지는? (0) | 2024.12.27 |
---|---|
돈 계좌도 심리에 따라 변한다 (0) | 2024.12.14 |
쇼핑에 심리가 작용하는 원리 (0) | 2024.12.10 |
당황하는 우리 모두의 판단 (1) | 2024.12.09 |
변화를 싫어하는 인간 심리 (2) | 2024.12.08 |